카테고리 없음

2023-05-11 Postman Test

jung1911 2023. 5. 11. 21:16

 

Postman 

 

1. 회원가입

 

  • 회원가입을 하기위해 user와 관련된 폴더/파일을 만들어준다.
  • POST로 설정하고 만일 어디에 멀 넣어야 할지 모를 땐 코드를 보면서 하는게 좋다.(밑에 사진에 post)
  • users.py/urls.py을 보고 api주소를 확인 하면된다.
  • body로 들어가 raw/JSON을 클릭
  • Body안에 딕셔너리 형태의 값을 보내주면 확인 가능하다.(2번째 사진)
  • api 주소 http://127.0.0.1:8000/ 3번 사진을 보면 Environments를 클릭해서 해당 주소를 바꿔주고 default 값으로 변경해준다. (편하게 사용하기 위함 굳이 안해도됨)

 

 

1번

 

 

2번

 

 

3번

 

 

2. 로그인 

 

  • 이메일 로그인으로 사용하여 PUT을 사용했고 위에 주소를 host로 디폴트 값으로 지정하면 {{}}을 사용해서 넣어줬다.
  • 밑에 message를 확인하면 인증이 되었다는걸 알 수 있다.!

 

 

 

 

3. 게시글

 

  • 이제 게시글을 작성할 건데 여기서 중요한 건 로그인 id 값을 넣어줘야 한다.
  • 밑에 사진을 보면 Heders 를 클릭
  • key 값에 Authorization  넣어주고 value 값에 Bearer {{token}}를 넣어주면 된다.(1번 사진)
  • api 주소를 잘 확인하고 넣어주고 BODY 딕셔너리 형태로 게시글을 작성해서 SEND 해주면된다.(2번 사진)
  • 오류가 나면 db확인 및 코드 api주소(주로 / 에서 에러 많이납니다..) 확인 하면 된다.
  • 유저의 권한이 필요한 부분은 1번 사진을 참고해서 꼭 넣어야 한다.
  • 수정의 경우엔 게시글 id 값을 지정해서 수정을 하면 되고 삭제는 id 지정후 send 하면 삭제된다.(삭제시 status 확인)

1번

 

 

 

2번

 

 

 

4.댓글

 

  • 댓글도 마찬가지로 유저의 권한이 있어야되니깐 key:vlaue값을 넣어주면된다.
  • 테스트 하고싶은 댓글 내용을 BODY에 쓰면된다.
  • api를 확인해 ID값이 어디에 들어가는지 꼭 확인! (여기서 실수 많이했다..)
  • 댓글은 content만 작성해서 보내면된다.  (댓글작성,수정)
  • 삭제는 작성 안해도된다.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