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TIL 2023 . 03.22 python 심화 문법 조건문/반복문(리스트)
jung1911
2023. 3. 26. 12:12
새로배운것!
조건문
if 조건문은 코드를 실행하거나, 실행하지 않게 하는것
if 조건문의 기본적인 코드
if num: #조건문 뒤에 반드시 콜론(:)을 붙여줘야 한다.
print()# if문 다음 문장은 4칸 들여쓰기 후 입력해야한다!
날짜/시간
#날짜/시간과 관련된 기능을 가져온다!
import datetime
#현재 날짜/시간을 구한다.
now = datetime.datetime.now()
#출력
print(now.year,"년")
print(now.month,"달")
print(now.day,"날짜")
print(now.hour,"시간")
print(now.minute,"분")
print(now.second,"초")
#현재 날짜 시간 분 초 나온다.!
#한 줄로 출력
print("{}년 {}월 {}일 {}시 {}분 {}초".format(
now.year,
now.month,
now.day,
now.hour
now.minute,
now.second
))
오전/오후 구분
import datetime
now = datetime.datetime.now()
#오전구분 12시 이전
if now.hour < 12:
print("현재 시각은 {}시로 오전입니다!".format(now.hour))
#오후구분 12시 이후
if now.hour >= 12:
print("현재 시각은 {}시로 오후입니다.!".format(now.hour))
계절 구분
import datetime
now = datetime.datetime.now()
#봄 구분
if 3 <= now.month <= 5:# 3보다 크거나 같고 5보다 작거나 같음(봄은 3월~5월)
print("이번 달은 {}월로 봄입니다!".format(now.month))
#여름 구분
if 6 <= now.month <= 8:# 6보다 크거나 같고 8보다 작거나 같음(여름은 6월~8월)
print("이번 달은 {}월로 여름입니다!".format(now.month))
#가을 구분
if 9 <= now.month <= 11:# 9보다 크거나 같고 11보다 작거나 같음(가을 9월~11월)
print("이번 달은 {}월로 가을입니다!".format(now.month))
#겨울 구분
if now.month == 12 or 1 <= now.month <= 2: # 12월과 1~2월 or을 이용해 범위를 연결 12~1 보다 크거나 같고 2보다 작거나 같음
print("이번 달은 {}월로 겨울입니다!".format(now.month))
끝자리로 짝수와 홀수 구분
#입력 받기
number = input("정수 입력:")
#마지막 자리 숫자를 추출
last = number[-1]
#숫자로 변화하기!
last_number = int(last)
#짝수 확인 \(역슬래시) 기호를 입력하고 줄바꿈해서 코드를 입력
if last_number == 0\
or last_number == 2\
or last_number == 4\
or last_number == 6\
or last_number == 8:
print("짝수입니다!")
if last_number == 1\
or last_number == 3\
or last_number == 5\
or last_number == 7\
or last_number == 9:
print("홀수입니다!")
#122 123
else
if 조건문 뒤에 사용하며,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
#위에 홀수 짝수 구분의 예시로 간단하게 설명
number = input("정수입력:")
number = int(number)
#조건문 사용
if number % 2 ==0:
# 조건이 참일 때, 즉 짝수의 조건
print("짝수입니다")
else:
#조건이 거짓일 때, 즉 홀수 조건
pritn("홀수입니다!")
elif
세 개이상의 조건을 연결해서 사용한다
계절을 구하기
import datetime
now = datetime.datetime.now()
month = now.month
if 3 <=month <=5:
print(봄)
elif 6 <=month <=8:
print(여름)
elif 9 <= month <= 11:
print("가을")
else:
print("겨울")
반복문-list,dicitionary
리스트
리스트 생성은 대괄호[ ]에 쉼표로 구분해서 입력
[요소,요소,요소...]
#대괄호 내부에 넣는 자료를 요소(element)
>>>[1,2,3,4,5] # 숫자만으로 구성
[1,2,3,4,5]
>>>["안","녕","하","세","요"] # 문자열만으로 구성
['안','녕','하','세','요']
>>> [1,2,3,"문자열",True,False]
[1,2,3,"문자열",True,False] # 여러 자료형으로 구성
#리스트 선언
list_a = [1,2,3,"문자열",True,False]
list_a[0] #대괄호 안에 들어간 숫자를 인덱스(index)라고 한다.
리스트 사용
#음수를 넣어 뒤에서부터 요소를 선택!
list_a = [1,2,3,"문자열",True,False]
list_a[-1]
False
list_a[-2]
True
list_a[-3]
'문자열'
#이중으로 사용
list_a = [1,2,3,"문자열",True,False]
list_a[3]
'문자열'
list_a[3][0]
문
#리스트 안에 리스트 사용
list_a= [[1,2,3],[4,5,6][7,8,9]]
list_a[1]
[4,5,6]
list_a[1][1]
5
리스트 요소 추가append,insert
append() 함수는 리스트 위에 요소를 추가
insert() 함수는 중간에 요소를 추가
######리스트명.append(요소)#######
#리스트를 선언
list_a = [1,2,3]
#리스트 뒤에 추가
list_a.append(4) # 요소 추가
list_a.append(5)
print(list_a)
[1,2,3,4,5] 값이 나온다.
리스트명.insert(위치,요소)
#위에 나온 list를 사용해서 추가
list_a.insert(0,10)#위치 0,1,2,3,4 코딩순서를 잘기억하면된다.
print(list_a)
[10,1,2,3,4,5] 값이 나온다
extend()
한 번에 여러 요소를 추가
a= [1,2]
a.exptend([3,4,5])
print(list_a)
[1,2,3,4,5]
제거하기:del,pop ,clear
del:리스트 요소 제거
pop: 리스트 요소제거, 변수를 입력하지 않으면 마지막 요소를 제거
del 리스트명[인덱스]# del(공백)리스트 명이다
리스트명.pop(인덱스)
a= [0,1,2,3]
# del 제거하기
del a[1]
print("del a[1]:",a)# 정의 하고 실행을 해줘야한다.
#실행결과 [0,2,3]
#pop 제거하기
a.pop(2)
print("pop(2):",a)
#실행결과 [0,2]
#clear 모두 제거
a= [0,1,2,3]
a.clear()
a
for 반복문
반복실행
in: 특정 값이 리스트 내부에 있는지 확인
not in: in과 반대이다. 내부에 없는지를 확인
for 반복자 in 반복할 것:
코드
#리스트 선언
r = [1,2,3]
#리스트에 반복문을 적용
for element in r:# for 리스트에 있는 요소가 element변수에 들어가면서 차례대로 반복한다
print(element)
#실행결과
1
2
3